
검색 히스토리를 보니 세무사 자격증 수당에 관하여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은근 있는 것 같아
글을 써보기로 한다.
일단 결론은 세무사 자격증 수당은 세무사 자격증이 있다고 하여 무조건 주는 것이 아니고
주는 데도 있고 안 주는 데도 있다.
필자가 세무사를 합격(2015년도)하고 나서
1. 구멍가게 세무법인, 구멍가게 회계법인
2. 중소기업(세무 · 회계 출판/교육 관련)
3. 공기업(공사)
4. 대기업
등을 거쳤는데..
필자는 현재 다니고 있는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세무자 자격증 수당을 받은 곳이 없다.
1. 세무법인, 회계법인에서는 당연히 자격증 수당을 주지 않는다. 널리고 널린게 세무사, 회계사니까
말이다. 더군다나 구멍가게라면 퇴직금도 제대로 안 챙겨주는 판에 자격증 수당은 줄리 만무하다.
2. 필자가 다녔던 중소기업은 세무 · 회계와 관련된 기업이었음데도 불구하고 자격증 수당을
따로 챙겨주진 않았다.
3. 공기업(공사)는 진리의 케바케(케이스 바이 케이스)인 것 같다.
즉, 어떤 곳은 주고 어떤 곳은 안 준다. 필자가 다녔던 공기업에서는 주지 않았다.
거기에는 회계사들도 있었는데 자격증 수당을 안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한 마디로 일만 더럽게 힘들고 대우는 자격증 없는 다른 직원들과 완전히 똑같다고 보면 된다.
물론 공기업 중에 주는 곳도 있다고 하니 잘 찾아보시기 바란다.
4. 현재 다니고 있는 대기업에서는(대기업 맞기는 한건지..) 자격증 수당을 준다.
근데 어불성설인게 자격증 수당까지 고려해서 연봉 협상을 했으니 그 단맛을 잘은 모르겠다..
어쨌든 주긴 준다. 얼마냐면 월 20만원이다.
참고로 회계사와 변호사는 월 40만원씩 준다.(차이가 좀 크다..)
<정리> 세무사 자격증 수당을 줄 수 있는 곳은 공기업, 대기업 정도라고 볼 수 있는데
그것도 역시 케이스 바이 케이스고 회계사, 변호사 자격증이 세무사 자격증보다 자격증 수당을
좀 더 챙겨주는 것 같다.
'세무사 >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무사 개업에 관한 소고 (11) | 2020.06.15 |
---|---|
세무사 진로(5) 중소기업(근로소득자 vs 프리랜서) (0) | 2020.04.05 |
세무사 진로(4) 대기업 (2) | 2019.12.07 |
세무사 진로(3) 공기업 (9) | 2019.12.06 |
세무사 진로(2) 근무세무사 (0) | 2019.12.05 |